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닫기

이스라엘의 신앙을 비롯한 선대들의 삶을 전수해 주는 교육 현장을 추적해 들어가 본다. 이 책에서 탐구하는 내용은 세대를 거쳐 통교하고 부모의 가르침을 다음 세대들에게 전수하는 것이다. 어디에서 가르침이 일어나는가? 누가 가르쳤는가? 이 무명의 개인들이 어떻게 학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는가? 선생들은 어떤 문헌으로 도움을 주었는가? 젊은이들은 어떤 식으로 저항하였는가? 학생의 목소리가 한 번도 들리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주된 초점은 이스라엘의 읽고 쓰는 능력(literacy)의 정도나 교육기관들(educational institutions)의 특정장소가 아니라,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달된 지식의 성격에 있다. 저자가 30여 년에 걸쳐 이스라엘 지혜 문학을 탐구한 결실인 이 책을 통해 고대 이스라엘에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이해를 넓히시기를 바란다

머리말 서론 1. 알렉산드리아에서의 유대 교육 2.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교육 3. 고대 이집트의 교육 제1장 읽고 쓰는 능력 1. 이집트에서 읽고 쓰는 능력 2. 그리스와 로마에서 읽고 쓰는 능력 제2장 심사숙고하는 생활 1. 문학 작품 1) 교훈(Instrucions) 2) 경구(Sayings) 3) 대화(Dialogue) 2. 구성/편찬 1) 신화(Myths) 2) 양식(Forms) 3) 사회적 배경 (Social Settings) 3.주제 1) 창조(Creation) 2) 하느님 경외(Fear of God) 3) 인격화된 지혜(Personified Wisdom) 4) 성격 형성(Formation of Character) 4. 기능 1) 교육(Education) 2) 토론(Debate) 3) 여흥(Entertainment) 4) 분류학(Taxonomies) 5) 의식(Ritual) 6) 논쟁(Polemic) 7) 조언(Counsel) 5. 결론 추기 제3장 고대 이스라엘의 학교 1. 학교에 대한 성경의 증거 2. 팔레스티나 비문들의 증거 3.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유비 4. 결론 제4장 지식의 습득 1. 지식의 이론 2. 지식을 습득하는 세 가지 길 1) 자연과 인간 행위를 관찰함 2) 유비: 신조와 현실 3) 초월자와 만남 3. 교수법 제5장 배움에 대한 저항 1. 아니의 교훈 2. 파리루스 인싱어 3. 집회서(벤 시라) 4. 결혼 제6장 잃어버린 목소리 제7장 지성적 성취를 나타내는 언어 1. 선생을 위한 어휘 2. 학생들과 그들의 활동을 묘사하는 어휘 제8장 문학 정경 1. 욥기 2. 코헬렛 3. 집회서(시라) 4. 잠언 5. 지혜 밖의 문학 작품 6. 결론 제9장 인간이 발견하는 지식과 하느님께서 선물로 주시는 지식 제10장 알려지지 않은 것을 입증하며: 지식과 신성한 것 1. 지적 잠재력 2. 사회적 맥락 3. 결론 결론 약어 선별된 참고 문헌 성경 본문과 다른 본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