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묵시록을 실타래 풀 듯 한 장 한 장씩 풀어나가다 보니, 어느새 묵시 19,1.3의 '할렐루야' 외침 속에 저도 한 목소리를 보태게 되었으며, 급기야 묵시 22,20의 "그렇다, 내가 곧 간다."라는 반가운 소식과 함께
"아멘. 오십시오, 주 예수님!"이라는 외침이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터져 나오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창세기 첫머리에서 원죄와 함께 생명나무에 이르는 길이 닫혔다면(창세 3,24 참조), 요한 묵시록 끝자락에서 속량과 함께 생명나무의 열매를 먹는 권한을 받고, 성문을 지나 하느님의 도성으로 들어가는 문이 열렸다는 (묵시 22,14 참조), 진정한 의미에서의 기쁜 소식을 접하게 될 것입니다.
요한 묵시록은 누구나 알아듣기 쉽고, 읽어서 참 희망. 참 생명의 기쁨을 주는 책입니다.
차례
요한 묵시록 입문
제1부 유다 묵시문학
1. 유다 묵시문학의 역사적 배경
2. 유다 묵시문학의 특징
제2부 그리스도교 묵시문학(요한 묵시록)
1. 유다 묵시문학과의 비교
2. 요한 묵시록은 교회의 책
3. 요한 묵시록의 저자
4. 요한 묵시록의 저술 시기
5. 요한 묵시록의 정치적 배경
6. 요한 묵시록의 가치
7. 요한 묵시록의 짜임새
8. 요한 묵시록의 주석
요한 묵시록 본문
제1부 머리말 (묵시 1,1-3)
제2부 일곱 교회에 보내는 편지 (묵시 1,4-3,22)
1. 인사 (묵시 1,4-8)
2. 요한의 소명 (묵시 1,9-20)
일곱 교회에 보내는 편지 (묵시 2,1-3,22)
3. 에페소 교회에 보내는 편지 (묵시 2,1-7)
4. 스미르나 교회에 보내는 편지 (묵시 2,8-11)
5. 페리가몬 교회에 보내는 편지 (묵시 2,12-17)
6. 티아티라 교회에 보내는 편지 (묵시 2,18-29)
7. 사르디스 교회에 보내는 편지 (묵시 3,1-6)
8. 필라델피아 교회에 보내는 편지 (묵시 3,7-13)
9. 라오디케이아 교회에 보내는 편지 (묵시 3,14-22)
제4부 어두움 세례의 패망 (묵시 8,6-13,18)
1. 처음 네 나팔 (묵시 8,6-13)
2. 다섯째 나팔 (묵시 9,1-12)
3. 여섯째 나팔 (묵시 9,13-21)
4. 천사와 작은 두루마리 (묵시 10,1-11)
5 두 증인 (묵시 11,1-14)
6. 일곱째 나팔 (묵시 11,15-19)
7. 태양을 입은 여인 (묵시 12,1-6)
8. 용의 패배 (묵시 12,7-18)
9. 바다에서 올라오는 짐승 하나 - 첫째 짐승 (묵시 13,1-10)
10. 땅에서 올라오는 다른 짐승 하나 - 둘째 짐승 (묵시 13,11-18)
제5부 세말에 관한 환시들 (묵시 14,1-22.5)
1. 어린양과 그의 백성 (묵시 14,1-5)
2. 심판의 예고 (묵시 14,6-13)
3. 마지막 수확 (묵시 14,14-20)
4. 마지막 일곱 재앙의 예고 (묵시 15,1-8)
5. 하느님의 진노가 담긴 일곱 대접 (묵시 16,1-21)
6. 대탕녀 (묵시 17,1-6)
7. 대탕녀 바빌론에서 내릴 심판 (묵시 17.7-18)
8. 바빌론의 패망 (묵시 18,1-8)
9. 어린양의 결정적인 승리 (묵시 18,9-24)
10. 할렐루야! - 승리의 노래 (묵시 19,1-10)
11. 흰말을 타신 분 (묵시 19,11-21)
12. 천 년 통치 (묵시 20,1-6)
13. 사탄의 패망 (묵시 20,7-10)
14. 마지막 심판 (묵시 20,11-15)
15. 새 하늘과 새 땅 (묵시 21,1-8)
16. 새 예루살렘 (묵시 21,9-21)
17. 빛 그리고 생명수 (묵시 21,22-22,5)
제6부 맺음말 (묵시 22,6-21)
글쓴이 : 박찬용 신부
1976년 인천교구 사제로 서품된 박찬용 신부는 가톨릭대학교에서 성서신학 석사 학위를, 인하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여러 본당에서 사목하며 가톨릭대학교, 인천가톨릭대학교, 인천 가톨릭 교리 신학원, 인하대학교 등지에서 신구약성서, 성서히브리어, 성서희랍어, 종교학, 문화사, 인간학 등을 가르치고 2010년에 은퇴했다. 현재 원로 사목자로서 성서 관련 서적 번역과 성서영성 피정 지도 및 강의에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