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닫기

최고의 학자가 소개하는

우리 신앙의 핵심, 그리스도론

이 책은 현대 스페인 교회 최고의 교의 신학자 중 한 분으로 평가받는 ‘올레가리오 곤잘레스 데 카르데달’ 신부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로, 우리 신앙의 핵심인 그리스도에 대한 주요 주제를 집약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올레가리오 신부는 지난 2011년 베네딕토 16세 교황이 제정한 ‘라칭거 상’을 수상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미 그 이전에 스페인 정부에서 수여하는 국가적인 차원의 학술상을 여러 차례 수상한 학자이다. 명실공히 이 시대 가톨릭 교회의 최고 교의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이 작품은 스페인 신학계를 대표하는 「BAC 시리즈」를 통해 2001년에 출간되었으며, 2012년에 개정, 증보되어 그리스도론 분야에 있어서 보다 광범위한 최신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교부 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그리스도의 위대한 순간들과 최고 저자들을 소개하게 될 것이다. 그리스도교는 역사이자 전승이며 시간이다. 따라서, 그것은 기억, 체험, 희망을 요청한다. 오직 아브라함에 대한 부름에서 2,000년 대희년에 이르기까지 지나온 3.000년의 시간과 익숙한 사람만이 그리스도의 모든 충만함, 아름다움, 진리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저자들 가운데 이레네우스, 오리게네스, 아우구스티누스,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루스, 안셀무스, 토마스, 십자가의 요한, 예수의 데레사, 로욜라의 이냐시오, 루터, 베륄, 파스칼, 뉴먼, 묄러, 블롱델, 라그랑주, 라너, 발타사르를 비롯해 다른 문화와 지리 그리고 역사적 체험을 지닌 사람들의 삶과 사상 그리고 행위를 위해 그리스도께서 의미를 지니신 것에 대한 증언들을 인용하게 될 것이다.

― 제1판 서문 중에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다각도로 소개해 주는 교과서

이 책은 그리스도론에 대한 교과서로 집필된 책이다. 그래서 수많은 스페인 신학대학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의 신학대학에서 교재로 사용 중이다. 목적 자체가 그러하기에 이 책은 신학적 공동체에서 승인된 인식들을 분명하게, 그리고 문헌을 통해 입증하는 방식으로 제시한다. 그렇게 하여 문제의 핵심으로 독자를 데려간다.

이 책은 그동안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신학적 성찰을 집대성한 책이다. 가장 최근의 그리스도론에 관한 논의까지 담긴 보다 광범위한 관점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성찰하는 책인 것이다. 이 책의 중심 주제는 다음과 같다. 1) 예수님의 역사: 예수님은 누구이며, 어떻게 살았고, 어떻게 돌아가셨는가? 2) 예수님의 인격: 그분의 인격은 어떤 비밀을 지녔고, 그분의 가르침은 어떤 내용인가? 사람들은 그분을 어떻게 체험했고, 하느님께서는 그분을 위해 어떤 징표들을 마련하셨는가? 3) 예수님의 사명: 지금까지 그분의 역할은 무엇이었으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인류 전체를 위한 그분의 의미는 어떤 것으로 드러나고 있는가? 이를 밝히기 위해 저자는 제1부에서 성경의 그리스도론을 제시하고, 제2부에서는 교도권과 각 시대의 신학에서 성찰된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제시했다. 그리고 제3부에서는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명에 대한 체계적인 신학적 성찰을 소개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인류 구원의 요체(要諦)인 예수 그리스도의 정체성과 사명을 다양한 관점에서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학 전반에 대한 연구를 위한 핵심 초석을 마련할 수 있다.


추천사 19

머리말 24

제1판 서문 28

역자의 말 40

참고 문헌 48

약어 표시 54

도입: 그리스도론 59

I. 출발점 62

II. 목적 65

III. 장소 70

IV. 주체 77

V. 방법론 84

VI. 그리스도론의 내용 구분 94

VII. 그리스도론의 우선적 목적들 96

VIII. 현재 당면한 다양한 어려움 104

IX. 그리스도론에 대한 접근과 우선적인 수취인들 110

X. 정의 112


제1부 그리스도의 역사와 운명: 성경의 그리스도론 115

도입: 기원의 규범. 사실들, 본문들, 생생한 증언 116


제1장 활동 122

I. 하느님 나라의 선포 123

II. 기적들 149

III. 권위에 대한 주장과 정체성에 대한 칭호들 164


제2장 수난 188

I. 죽음 직전 예수의 자의식(自意識) 189

II. 예수의 죽음 213


제3장 영광스럽게 되심 268

I. 기원의 사실들 270

II. 부활의 맥락, 어휘, 내용 290

III. 부활하신 그리스도에 대한 실제적인 접근 316

IV. 부활하신 분: 성부의 계시자, 성령을 주시는 분, 교회를 일으키시는 분 329

V.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대한 종말론적이고 보편적인 특징 346


제2부 교회에서 그리스도의 현존과 해석: 역사적 그리스도론 357


제4장 교부 시대. 그리스도론적 공의회들 358

I. 역사에서 그리스도에 대한 이해 360

II. 신약 성경에서 2세기까지 377

III. 세 가지 불완전한 그리스도론과 세 명의 위대한 신학자 404

IV. 4세기의 신학과 그리스도론 그리고 성령론 441

V. 에페소와 칼케돈의 그리스도론 481

VI. 칼케돈에서 교부 시대의 마지막까지 526


제5장 중세: 스콜라와 종교 개혁의 세기 558

I. 서방으로 전수된 교부들의 그리스도론 560

II. 안셀무스. 그리스도론에 대한 구원론적 재강독 563

III. 초기 스콜라학. 대전들과 페트루스 롬바르두스 575

IV. 천재들의 세기: 알렉산더 할레스의 『신학대전』, 보나벤투라, 토마스 아퀴나스 577

V. 후기 스콜라: 스코투스, 에크하르트, 니콜라우스 쿠사누스, 라이문두스 룰루스 588

VI. 종교 개혁가들 그리고 트리엔트 공의회의 세기 592

VII. 스페인 신비가들: 이냐시오, 예수의 데레사, 십자가의 요한 599

VIII. ‘그리스도의 신비’와 그 형태들 602


제6장 근대와 현대에서의 그리스도론 604

I. 그리스도론의 세 단계 605

II. 학문과 신비 간의 근대적 결렬 607

III. 철학자들과 역사가들의 그리스도론 610

IV. 20세기의 그리스도론 637

V.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부터 세기의 마지막까지 648


제3부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명: 체계적 그리스도론 655

제7장 기원: 하느님의 아들 656

I. 부활하신 분에 대한 인식과 동일화의 논리 660

II. 하느님의 아들 됨 677

III. 선재(先在) 694

IV. 강생 711

V. 자기 비움(kenosis) 728

VI. 신성(神性) 736

VII. 하느님-인간 752


제8장 구성: 인간이신 예수 764

도입: 참하느님이자 참인간(Vere Deus et vere homo) 766


I. 기원 769

II. 모습 790

III. 인격 807

IV. 생애 874


제9장 사명. 구원의 중개자 893

도입: 그리스도의 인격(그리스도론)과 그분의 업적(구원론) 895

I. 구원과 구원의 중개자들 897

II. 그리스도 안에서 수여된 하느님의 구원 914

III. 구원론적 이론들: 바탕과 형태들 941

IV. 구원의 보편화와 개별화 980


결론: 그리스도 현현(顯現), 그리스도 테라피, 그리스도론 1011

I. 그리스도 현현: 길이신 그리스도 1018

II. 그리스도 테라피: 생명이신 그리스도 1024

III. 그리스도론: 진리이신 그리스도 1037

IV. 종결 1042


부록 I: 20세기에 이룬 성과와 21세기의 과제들 1046

I. 19세기에서 21세기로 1047

II. 20세기의 그리스도론과 그 수용 1053

III. 21세기의 그리스도론 1068


부록 II: 최소 참고 문헌(2001-2012) 1087

용어 색인 1099

인명 색인 1129

문헌 색인 1142

명제 색인 1147


올레가리오 곤잘레스

올레가리오 곤잘레스 신부(1934~)는 현재 스페인 교회를 대표하는 최고의 교의 신학자이다. 그는 아빌라 신학대학교, 뮌헨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미국 가톨릭대학교에서 수학하고 박사학위(1965)를 취득했다. 살라망카 대학교 교의 신학 교수, 국제 신학 위원회 위원, 왕립 아카데미 회원, 문화평의회 회원 등으로 활동했으며, 그간 약 100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에스파사상’(1984), ‘아빌라 문학상’(2002), ‘카스티야이레온상’(2008), ‘살라망카시 금메달’(2010), ‘카스티야이레온 비판상’(2011), ‘라칭거상’(2011)을 수상했다.


옮긴이 윤주현

윤주현 신부는 가르멜 수도회 소속 수도 사제로, 2001년 로마 테레시아눔에서 신학적 인간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2007년 아빌라 신비신학 대학원에서 가르멜 영성 마스터 과정을 수료하고, 그곳에서 2011년까지 영성 신학 교수로 활동했다. 현재 대전가톨릭대학교(2012~), 수원가톨릭대학교(2016~) 등에서 교의 신학, 영성 신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그간 약 55권의 저서와 역서를 출간했으며, 한국 가톨릭 학술상 번역상(2017)과 본상(2021)을 수상했다. 현재 『신학대전』 번역·간행 위원이자 한국 가톨릭 학술상 상임 심사 위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