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론과 교회론의 관계
제2권 성찰과 자극
『마리아와 교회』I에 이은 후속작으로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신앙인의 모범으로서 마리아에 대해, 제2장은 마리아와 교회의 관계에 대해, 제3장은 성사성(聖事性), 즉 구원의 대상이자 협력자인 마리아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제4장은 마리아의 선재성을, 제5장은 이 책 전체의 전망에 대해 서술한다.
마리아는 하느님의 말씀을 받아들이고, 자신을 남김없이 바친 신앙인의 본보기이다. 마리아와 교회의 관계는 그리스도교가 자리매김하던 첫 시기부터 서로 밀접한 관계였고, 따라서 초기 교회의 시작과 정착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마리아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그리스도와 마리아의 관계,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 그리고 마리아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물음은 그리스도교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초석이자 주춧돌이다.
이 책이 마리아론과 교회론의 관계를 바르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옮긴이의 글
자서전적 관점으로 쓴 이 책의 서문
제1장. 마리아와 신앙인
1.1. 신앙의 차원들
1.2. 은총으로서의 신앙과 자유로운 응답
1.3. 결과
제2장. “마리아는 거룩한 교회다”(알렉산드리아의 치릴로)
2.1. 마리아와 교회―이해를 위한 접근
2.2. 마리아와 교회: 일치와 차이
2.3. 결론
제3장. ‘하느님의 협력자’(2코린 6,1)인 마리아와 교회
3.1. 마리아와 교회―구원 과정에 협력
3.2. ‘현존’을 통한 교회의 협력
3.3. 결론: ‘성사성
제4장. “주님께서는 당신의 첫 작품으로 나를 지으셨다”(잠언 8,32)
4.1. 현대 신학자들이 바라보는 ‘역사 이전의’ 마리아와 교회
4.2. 마리아와 교회―‘최초의 피조물’?
4.3. 결론
제5장. 전망
5.1. 몇몇 예술 작품 안에 드러난 마리아
5.2. 결론을 대신하여
약어 및 인용 방식
참고 문헌
인명 색인
글쓴이 기스베르트 그레사케 Gisbert Greshake
독일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신학자이다. 1933년 독일 중서부 레클링하우젠(Recklinghausen)에서 출생하였고, 1960년 사제로 서품되었다.
1969년 독일 뮌스터 대학교 발터 카스퍼(Walter Kasper) 교수 지도하에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72년 독일 튀빙엔 대학교 교수자격논문(Habilitation)을 취득하였다.
1974년부터 1999년 은퇴까지 오스트리아 빈 대학교와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신학부 교수로 재직하였다.
옮긴이 조한규
천주교 서울대교구 사제이고, 2015년 독일 본(Bonn) 대학교에서 신학박사학위(STD)를 취득하였다.
2015년 가을부터 가톨릭대학교 신학과에서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