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닫기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
김수환 추기경의 마지막 육성 기록
한국 최초의 추기경이자, 현재 서울대교구 시복시성위원회가 시복시성 예비 심사 진행 중인 ‘하느님의 종’ 김수환 추기경. 그의 생애를 담은 책이 새롭게 개정판으로 출간됐다. 혼란스러운 시대일수록 큰 어른의 목소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그의 삶과 생각은 오늘날 독자에게 여전히 깊은 울림을 전한다. 
《추기경 김수환》은 김수환 추기경이 남긴 유일한 회고록으로 그의 삶과 신앙, 한국 현대사를 통과하며 품었던 생각들이 차분히 담겨 있다. 책에는 어린 시절부터 일제 강점기를 보낸 소년 시절, 신학교 생활과 학도병 징집, 추기경이 되기까지의 여정이 다양한 사진과 함께 펼쳐진다. 그가 사제의 길을 결심하기까지의 내적 갈등과 그 과정에서 느꼈던 고민이 솔직하게 드러나 있으며, 한국 최초의 추기경으로 서임되기까지의 과정과 서울대교구장 재임 30년 동안 마주한 한국 교회의 역사적 순간들이 생생히 기록되어 있다. 
이번 개정판은 양장본으로 선보인다. 책의 표지에는 추기경이 유년 시절 살던 집을 떠올리며 직접 그린 <옛집>이 실려 있어, 그가 기억하는 따뜻한 정서를 고스란히 전한다. 특히 제목과 소제목에 가톨릭출판사에서 개발한 글꼴 ‘김수환추기경체’를 사용해 책의 상징성을 더했다.
김수환 추기경은 그의 사목 표어인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처럼 예수님께서 당신의 모든 것을 내어 주신 그 사랑을 본받아 자신을 내어 한국 교회와 사회를 위해 헌신해 왔다. 그의 삶을 진솔하게 담은 이 책은 시대가 변한 지금에도 여전한 울림을 전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그가 걸어온 길에서 드러나는 용기와 성찰을 만나게 될 것이다.

‘시대의 등불’ 김수환 추기경
그 이면의 가장 인간다운 모습
《추기경 김수환》은 추기경의 내면과 인간적인 면모를 더 자세히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 책은 총 7장으로 구성되어 110여 장의 사진과 함께 추기경의 삶과 신앙을 다각도로 보여 준다. 
책 속에는 김수환 추기경의 깊은 고민과 솔직한 고백도 담겨 있다. 신학교에서 도망칠 궁리를 하던 어린 소년 시절부터, 사제가 된 후에도 자신의 역할과 위치를 고민했던 순간을 진솔한 어조로 만날 수 있다. 또한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하기도 하고, 의지하던 큰형의 부음을 들은 후 형의 방에 누워 잠을 청하던 장면은 우리가 기억하는 추기경의 강인한 모습 이면에 한 인간으로서의 나약함도 드러난다.
특히 그의 ‘양심’은 어린 시절부터 돋보였다. 일제 강점기 때 한 시험에서 ‘황국 신민으로서 그 소감을 쓰라’는 문제 앞에서 소년 김수환은 답안지에 이렇게 적었다. ‘나는 황국 신민이 아님. 따라서 소감이 없음’. 그 용기는 훗날 6·10 항쟁 당시 경찰 고위 관계자 앞에서 “학생들을 체포하려거든 나를 밟고, 그 다음 신부와 수녀들을 밟고 지나가십시오.”라고 말하는 신념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그는 자신의 이야기를 솔직하게 나누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피정 중에 쓴 일기에서는 “나는 그리스도처럼 가난한 자 되고 싶다. 가난한 자 중에서 가난한 자, 모든 사람의 종이 될 수 있을 만큼 가난한 자.”라고 고백했다. 또한 베드로 사도처럼 깊은 눈물을 흘리고 싶었지만, 그러지 못했다며 세미나에서 은사를 얻지 못해 낙담한 신부들이 있을까 봐 “추기경도 눈물의 은사를 못 받고 돌아갔다.” 하며 유머 섞인 위로를 건네기도 했다. 이렇듯 그가 남긴 말에서 신앙인으로서의 겸손과 따뜻함을 엿볼 수 있다.
김수환 추기경은 1969년, 당시 최연소 추기경이자 한국 최초의 추기경으로 서임되며 한국 가톨릭 교회의 상징이 되었다. 현재 ‘하느님의 종’이라는 호칭을 얻고 가톨릭 시복시성의 첫 단계에 있다. ‘시대의 예언자로서 인권과 정의의 보루가 되었으며, 가난한 사람들의 친구로서 모든 약한 사람들의 지킴이가 되었고, 사회 통합의 선구자로서 화합의 다리’가 되었기 때문이다. ‘시대의 등불’, ‘혜화동 할아버지’, 그리고 그가 스스로를 부르던 ‘바보 김수환’ 등 그를 수식하는 말들은 많다. 이 책에서 우리는 김수환 추기경이 그동안 불리던 수식어가 아닌, 자신을 낮추고 사람을 먼저 생각했던 가장 인간다운 모습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생애를 돌아보며 우리는 한국 사회에서 진정한 어른이자 성숙한 그리스도인으로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금 되묻게 된다. 이번 개정판을 통해 그의 삶과 신앙, 그리고 따뜻한 목소리를 다시 만나 보길 권한다. 

[책속에서]
나는 붉게 물든 저녁 하늘을 무척 좋아한다. 산등성이로 석양이 기우는 풍경은 내 고향이고 내 어머니이다. 유년 시절 첫 기억은 서너 살 무렵, 경북 선산에 살 때이다. 어머니는 곡마단이 들어온 읍내 공터 구석에서 국화빵을 구워 파셨다. 나는 그 옆에 쪼그려 앉아 어머니가 장사하는 모습을 우두커니 쳐다보았다. 옹기를 팔러 장에 나간 어머니가 해 질 녘이 되어도 안 돌아오시면 큰길로 나가서 어머니가 나타날 고갯길을 하염없이 바라보곤 했다. 늘 그 시간이면 서쪽 고갯마루에 석양이 뉘엿뉘엿 기울고 있었다.
― 10p. 

수많은 종교와 종파가 있지만 가톨릭은 하나다. 세상 어디를 가도 전례와 교리, 교회 구조가 똑같다. 미국 뉴욕 번화가에 있든 아프리카 밀림에 있든 지구상의 모든 가톨릭 교회는 하나의 믿음으로 베드로 사도 후계자인 교황과 연결돼 있다. 즉, 모든 신자가 한 가족 한 형제다. 그러니 패전국의 학도병, 그것도 일본군 군복을 입고 있는 한국 신학생이 그 섬에서 미국 형제를 만났으니 얼마나 반가웠겠는가. 가톨릭 신학생이란 신분이 알려진 덕에 그해 성탄대축일 미사에 참례하는 행운까지 얻었다. 성탄절 직전, 군종목사는 수천 명 되는 일본군 중에 유일한 가톨릭 신자인 나를 불러 “유황도에 있는 군종신부가 여기 와서 성탄전야 미사를 할 예정인데 원하면 참례해도 좋다.”라고 말했다. 부도에 군종목사는 있었지만 군종신부는 없었다. 미사 참례라는 말에 얼마나 가슴이 뛰었는지 모른다.
― 82-83p.

“제가 하는 말을 정부 당국에 전해 주십시오. 경찰이 성당에 들어오면 제일 먼저 나를 만나게 될 것입니다. 그 다음 시한부 농성 중인 신부들을 보게 될 것입니다. 또 그 신부들 뒤에는 수녀들이 있습니다. 당신들이 연행하려는 학생들은 수녀들 뒤에 있습니다. 학생들을 체포하려거든 나를 밟고, 그 다음 신부와 수녀들을 밟고 지나가십시오.” 내 입장은 확고했다.
― 328p.

신부 되는 것, 스스로 원한 것은 아니었지만 될 수밖에 없도록 인도하셨고 주교와 추기경의 삶은 명령으로 떨어졌고, 여기에 따르는 긴 세월의 삶은 단순하지 않았다. 몇 번이고 도망치고 싶을 때가 있었다. 십자가를 벗어 던지고 싶었다. 그러나 결단의 용기를 내지 못하였다. 결국 ‘당신 뜻대로 하소서.’ 하고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생각해 보면 나는 죄인이다. 허물이 많은 사람이다. 하느님 앞에서는 고개도 들 수 없는 대죄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느님께서는 오히려 이런 죄와 허물을 통해서, 바오로 사도가 죄 많은 곳에 은총도 충만히 내렸다(로마 5,20 참조)고 하신대로 당신의 사랑, 당신의 자비, 당신의 그 풍성한 용서의 은총을 깨닫게 하여 주셨다.
― 412p.


1장 꿈 그리고 희망
가난한 옹기장수의 막내아들 39
어머니 손에 이끌려 신학교로 45
신학교에서 나가겠습니다 49
막내아들의 사모곡 57
적개심에 불타는 유학생 62
학도병으로 전쟁터에 71
전쟁터에서 만난 귀한 인연 80
FBI가 나를 추적한 사연 86
고달픈 귀국길 90
갈등과 유혹 96
다시 신학교로 101
전쟁의 혼란 속으로 106

2장 행복한 시골 신부
사제로 태어나다 113
꿈처럼 아름다웠던 본당 신부 생활 119
짧았던 교구장 비서 시절 124
내 무릎에 기대어 눈을 감으신 어머니 129
‘콧님’신부와 밀가루 신자 134
배움의 열망 안고 독일로 139
밀린 구독료 받으러 다니는 신문사 사장 148
사형수 최월갑과 희망원 153

3장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
사제 수품 15년 만에 주교로 161
나의 첫사랑 마산교구 166
한국 교회 최초의 시국 담화문 발표 171

4장 양 떼를 사랑한 목자
서울대교구장에 오르다 179
길고 험난했던 서울대교구장 30년 185
내가 만난 박정희 대통령 190
병인박해 순교자 24위 시복식 195

5장 진리의 등불, 사랑의 등불
최연소 추기경으로 임명되다 203
전 세계 긴급 뉴스의 주인공으로 208
내가 정치를 좋아한다고? 213
8·15 시국선언으로 유신정권과 정면충돌 218
지학순 주교의 양심선언과 투옥 223
교회 정치 참여 논쟁과 분열 237
내가 만난 저항 시인 김지하 242
유신 정권을 향해 포문을 열다 247
유신 정권의 교회 탄압 252
동일방직 노조 탄압 사건에 뛰어들다 256
짓밟히는 농민 운동 261
두 번의 교황 선거 267
끝내 얻지 못한 눈물의 은사 272
유신 종말과 서울의 봄 277
신군부 세력과 5·18 광주 286

6장 이 땅에 평화를
내가 만난 마더 데레사 293
조선교구 설정 150주년 기념 신앙대회 298
형님 김동한 신부 303
가난한 이들과 살고 싶었는데 309
교황 방한과 103위 시성식 315
제5공화국과 가톨릭 교회 320
“나를 밟고 지나가시오” 325
그리스도, 우리의 평화 334
가톨릭 미디어 시대를 열라 339
문민 정부가 가져다 준 여유 344
김일성 주석은 나의 ‘어린양’ 350
공권력에 짓밟힌 한 뼘 성역 355
30년 무거운 짐을 내려놓다 361
혜화동 할아버지 366

7장 ‘혜화동 할아버지’ 김수환
황혼 들녘에 서서 373
용기가 없어 가난한 이들과 함께 못해 378
목자 잃은 북녘 양 떼에게 달려가고팠지만 383
인생의 스승들 389
종교간 대화, 젊은이들에게 394
추기경의 눈물 399
에피소드 403
인생을 돌아보며 410

감수자의 글 414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연보 418
맺음말 422

구술 김수환
1922년 5월 8일(음력) 대구에서 태어나 1951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1966년 주교로 서품되어 초대 마산교구장으로 착좌하였고, 1968년 제11대 서울대교구장으로 임명되어 대주교로 승품되었다. 1969년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한국 최초의 추기경으로 서임되었으며,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라는 주교 표어처럼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과 함께하며 ‘세상 속의 교회’를 실천했다. 2009년 2월 16일 선종하였으며, 현재 ‘하느님의 종’으로 시복시성이 진행 중이다.

감수 조한건
2000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2012년 서강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18년부터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조선 천주교 박해 시기 한글·한문 서적을 연구하며 순교자들의 역사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